*수강신청을 원하시면 아래 말풍선을 눌러주세요!
개요
•
강사 : 김형태 (영국 더럼대학교 신약학 Ph.D, 주님의보배교회)
•
일시 : 5월 2일(월) - 6월 13(일) 오전 10시 -12시 / 매주 월요일 6주간 (6월 6일은 휴강)
•
방식 : zoom 온라인 실시간 강의 (기간내 다시보기 제공)
•
수강료 : 5만원
•
주교재 : 존 바클레이. <바울과 은혜의 능력>. 서울 : 감은사. 2021. (개별 구입)
강의 목표
•
존 바클레이가 제시한 은혜의 여섯 가지 극대화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은혜에 대한 해석에 활용한다
•
은혜 개념을 바탕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르는 중요학자들의 바울해석을 이해하고 분석한다
•
제 2성전기 유대문헌에 나타난 은혜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바울의 은혜개념과 비교 분석한다(Cf. E.P. 샌더스의 “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”)
•
은혜 개념을 중심으로 갈라디아서와 로마서, 고린도전후서 등의 중요 본문들을 주해하고, 이를 설교에 적용한다
•
바울에 대한 중요 해석들(옛 관점/새 관점/가톨릭 관점/ 묵시론적 바울/급진적 새 관점(유대교 안의 바울))과 바클레이의 바울해석을 비교하고 이해한다
•
바울의 은혜개념을 이용해서, 이를 현대의 윤리적 이슈에 적용한다
각주별 강의내용
1주차(5월 2일):
•
존 바클레이(John M.G. Barclay) 및 <바울과 선물>(Paul and the Gift) 소개
•
강의소개 및 <바울과 은혜의 능력>의 전체적 개요
•
서론: “은혜”는 무엇을 의미하는가?
•
제1장: 선물로서의 은혜
•
중요내용: 문화 인류학에서의 선물개념(마르셀 모스의 “증여론”)/선물 주고받기 개념의 변천사(세네카, 루터, 칸트, 콩트, 데리다=> 현대의 선물개념)
2주차(5월 9일):
•
제2장: 선물과 은혜의 극대화
•
제3장: 바울, 은혜, 제2성전기 유대교
•
중요내용: 케네스 버크의 “극대화”(perfection)개념/ 은혜의 여섯 가지 극대화 개념/ 주요 바울해석자들의 은혜 이해(마르키온, 아우구스티누스, 아퀴나스, 루터…)/ E.P. 샌더스의 “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”/ 새 관점 학파(제임스 던, 톰 라이트)의 유대교 이해/ 제 2 성전기 유대교(솔로몬의 지혜서, 쿰란찬송(호다요트), 필론, 에스라 4서)에서의 은혜 개념
3주차(5월16일):
•
제4장: “나는 하나님의 은혜를 거절하지 않습니다” (갈 1–2장)
•
제5장: 그리스도-선물, 율법, 약속 (갈 3–5장)
•
제6장: 선물에 대한 표현인 새로운 공동체(갈5–6장)
•
중요내용: “은혜”개념을 중심으로한 갈라디아서 읽기/ “율법의 행위” 해석/ “칭의” 해석/ “그리스도의 믿음”(피스티스 투 크리스투) 해석/ 톰 라이트, 제임스 던, 루이스 마틴 등 주요학자들의 갈라디아서 해석소개
4주차(5월 23일):
•
제7장: 비상응적인 선물과 그에 상응하는 결과(롬 1–5장)
•
제8장: 죽어가는 몸 속 새로운 생명(롬 5–8장, 12–15장)
•
제9장: 이스라엘, 그리스도, 하나님의 자비(롬 9–11장)
•
중요내용: 로마서 개관(저작목적, 단락, 주제 등)/ “은혜”개념을 중심으로 한 로마서 읽기/ 부르디외의 ‘아비투스’개념/ 로마서 중요 주석 소개/ “은혜”를 주제로 한 로마서 설교 소개
5주차(5월 30일):
•
제10장: 은혜의 문법과 그리스도의 선물
•
제11장: 은혜의 실천
•
중요내용: 고린도전후서, 빌립보서 등에 나오는 은혜 해석/ 바울서신에 전반에 나오는 비상응성의 패턴(은혜의 문법)/ 은혜의 순환 개념( 찰스 아이젠스타인의 “선물 경제론”)
6주차(6월13일):
•
제12장: 은혜와 바울에 대한 다른 관점들
•
제13장: 바울과 오늘날 은혜의 역동성
•
중요내용: 옛관점/ 묵시론적 바울해석/ 가톨릭의 바울해석/ 새 관점/ “유대교 안의 바울”(Paul within Judaism)학파의 바울해석(급진적 새 관점)/ 각 바울해석과 바클레이의 바울해석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 설명/ 현대의 윤리적 이슈(젠더/인종/자존감/사유재산권/자선 등)에 은혜 개념 적용